-
집에 있는 일체형 컴퓨터를 노트북과 연결하여 듀얼모니터로 사용할 수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.
일체형 컴퓨터와 노트북을 연결해 듀얼모니터로 사용은 몇가지 조건이 충족되면 가능합니다.
1. 일체형 컴퓨터를 노트북의 외부 모니터로 사용하는 경우
(1) 일체형 컴퓨터(올인원 PC)에 HDMI 입력포트(HDMI-IN) 확인
(2) 노트북의 HDMI 출력포트(HDMII_OUT)와 일체형 PC의 HDMI 입력포트( HDMII-IN)를 HDMI 케이블로 연결
HDMI케이블은 온라인에서 쉽게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.
HDMI케이블보러가기 (3) 일체형PC의 전원은 완전히 켜지지 않고, 전원 케이블만 연결된 상태에서 'Source'버튼(또는 외부입력버튼)을 눌러 모니터 모드로 전환
(4) 노트북에서 디스플레이 설정(Windows의 경우 ' 설정> 시스템> 디스플레이' 또는 윈도키+P)에서 화면 확장 또는 복제를 선택
일체형 PC에 반드시 HDMI-IN(입력) 단자가 필요합니다.
2. 일체형 컴퓨터를 메인으로, 추가 모니터를 연결하는 경우
일체형 컴퓨터의 HDMI 출력 포트(HDMI-OUT)에서 외부모니터로 연결하면, 일체형 PC+외부 모니터 듀얼 구성도 가능합니다.
3. 연결 및 설정 요약
(1) HDMI 케이블로 연결
(2) 일체형PC의 HDMI-IN 단자 사용(노트북→일체형 PC)
(3) 일체형 PC의 Source버튼으로 모니터 모드 전환
(4) 노트북에서 디스플레이 확장/복제 설정
4. 참고사항
(1) 일체형 PC 모델에 따라 HDMI-IN 단자가 없는 경우가 있으니, 뒷면 단자 명칭을 꼭 확인해야 합니다.
(2) 일부 모델은 전원을 완전히 켜지 않고 전원케이블만 연결된 상태에서만 모니터 모드가 동작합니다.
(3) LG, 삼성 등 제조사별로 세부 방법이 다를 수 있으니, 모델별 매뉴얼 참고가 필요합니다.
5. 일체형 컴퓨터에 HDMI-IN 포트가 없는 경우 듀얼 모니터 활용 방법
일체형 컴퓨터에 HDMI-IN(입력) 포트가 없다면, 해당 PC를 노트북의 외부 모니터로 연결해서 사용하는 것은 불가능하지만 다음과 같은 대안이 있습니다.
(1) 소프트웨어 기반 화면 공유 (무선/유선 네트워크 활용)
Windows10 이상에서 '무선디스플레이(Miracast)'앱을 통해 한쪽 PC를 프로젝터로 설정하고 다른 쪽에서 디스플레이 확장 기능으로 화면을 전송
(2) 서드파티 프로그램 활용
SpaceDesk, Splashtop, Deskreen 등 화면 미러링 프로그램을 양쪽 PC에 설치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화면 전송 가능
(3) USB 캡처 카드 활용 (외장장치)
노트북의 HDMI-OUT 단자를 HDMI 캡처 카드에 연결하고, 캡처 카드를 일체형 PC의 USB포트에 연결하여 일체형 PC에서 캡처 프로그램(OBS Studio)으로 입력 영상을 볼 수 있습니다.
이 방법은 영상 신호를 받아 창으로 띄우는 방식이므로 빠른 반응이 필요한 작업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.
6. 추가 모니터 직접 연결
7. 결론
일체형 컴퓨터에 HDMI-IN(입력) 단자가 있다면, 노트북과 연결해 듀얼 모니터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. HDMI-IN이 없다면 네트워크 기반 화면 공유 프로그램이나 USB HDMI 캡처 카드 등 다른 방법을 사용할 수 있지만, 반응 속도나 화질에 한계가 있으므로 가장 실용적인 방법은 별도의 외부 모니터를 추가로 사용하는 것입니다.
“본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을 통해 일정 수수료를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.”
'정보노트 > 생활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근린생활시설에 전세 들어가도 될까? 계약 전 꼭 알아야 할 5가지 현실 팁 (1) 2025.05.09 하이라이트 상판 닦는 법 찌든 때 제거법 (0) 2025.05.07 인감증명서 인터넷 무인발급기 발급 방법 (2) 2025.05.03 디지털 온누리상품권 이벤트, 이렇게 즐겨보세요! (0) 2025.05.03 알파남 9차 웨비나 후기 (1) 2025.04.25